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bash
- Python
- Audit Log
- C
- Kubernetes
- GPU
- syslog
- PostgreSQL
- 디렉토리
- rsyslog
- RHEL
- 크롬
- Linux
- 빅데이터
- Shell
- zabbix
- JSON
- Chrome
- audit
- GNOME
- 서울시민카드
- centos 7.5
- log
- CentOS
- Elasticsearch
- K8S
- docker
- Elk
- 파이썬
- yum
- Today
- Total
Sysops Notepad
[Linux] hdparm를 사용한 디스크 점검하기 본문
hdparm란?
hdparm 명령어는 하드디스크의 설정 값(속도등)을 확인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.
1) 설치
# yum install hdparm
2) 명령어 사용법
# hdparm [옵션] [장치명] # 기본적으로 디스크의 속도를 체크 할때 -tT 옵션을 많이 사용합니다. (ex. hdparm -tT /dev/sda)
-t : 버퍼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읽는 속도를 체크하고
-T : 버퍼된 데이터를 읽는 속도를 체크합니다.
3. 결과
/dev/sda:
Timing cached reads: 8806 MB in 2.00 seconds = 4406.90 MB/sec
Timing buffered disk reads: 574 MB in 3.01 seconds = 191.01 MB/sec
4. 그 외 나머지 옵션
-a : 파일 시스템의 readahead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확인 및 설정 // readahead는 하드디스크에 접근할 때 미리 읽는 섹터개수를 알려줌
-A : 드라이브의 read-lookahead flag (0/1)를 설정
-b : BUS상태 값(0 == off, 1 == on, 2 == tristate)을 확인 및 설정
-B : APM(Advanced Power Management)값(범위:1~255)설정
-c : IDE32-bit IO설정에 대한 확인 및 설정
-C : IDE장치의 파워모드상태 점검
-d : using_dma 플래그 설정 및 확인
-E : CD-ROM 드라이브 속도 설정
-f : 지정한 장치에 대한 버퍼캐쉬 동기화 그리고 빠져나감
-g : 드라이브 geometry값을 표시
-i : 드라이브 identification값 표시, HDD의 모델명 참조
-k : keep_settings_over_reset 플래그값(0/1)의 설정 및 확인
-K : 드라이브 keep_features_over_reset 플래그 값(0/1)의 설정 및 확인
-L : 드라이브 doorlock값(0/1)설정
-m : multiple sector count 값 확인 및 점검
-n : ignore-write-errors 값 (0/1) 설정 및 확인
-P : 드라이브 prefetch cont 값 설정
-t : 디스크 드라이브의 읽는 속도를 체크함, 버퍼링 없이 실제 읽는 속도 측정
-T : 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한 캐시데이터 읽는 속도를 체크함, 버퍼링 데이터 읽는 속도 측정
-u : unmaskirq 플래그 값 (0/1) 설정 및 확인
-y : IDE 드라이브를 준비상태로 둠
-Y : IDE 드라이브를 휴지 (sleep) 상태로 둠
-z : 파티션의 테이블정보를 다시 읽어 들임
-Z : Seagate 장치에 대한 auto-powersaving 모드를 비활성화 함
원본 :
https://idchowto.com/?p=41487
'업무 > sy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리눅스 모듈(module) 추가 제거 방법 (0) | 2020.10.05 |
---|---|
[Linux] 4.12 I/O Scheduler BFQ, Kyber, mq-deadline (0) | 2019.12.06 |
[Linux] smartctl를 사용한 디스크 점검하기 (0) | 2019.12.06 |
[Linux] i/o 스케줄러 (0) | 2019.12.03 |
[Linux] 리눅스 성능 측정툴 sysbench 사용법 (0) | 2019.07.31 |